본문 바로가기

표준편차

(2)
[개념 통계 10] 분산도란 무엇인가: 표준편차와 분산 안녕하세요. 홍박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분산도 관련 통계치 중 범위, 사분위 편차, 박스플롯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또 다른 분산도 관련 통계치인 표준편차와 분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편차(Deviation)란 무엇일까요? 편차(Deviation): "개별 자료"와 "전체 자료 평균"의 간 차이 우리는 일상적으로 어떤 자료들 간의 값 차이가 클 때 "편차가 크다"가 크다는 말을 많이 씁니다. 통계에서 편차란 관측치(개별 자료)와 전체 자료 평균(전체 자료 집합) 간 차이를 말합니다. 즉, 개별 자료가 평균으로 부터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는 값이 바로 편차입니다. "편차가 크다"는 말은 개별 자료들이 전체 평균과 많이 떨어져 있다는 의미입니다. 더 쉽게 말씀드..
[개념 통계 09] 분산도란 무엇인가: 범위, 사분 편차, 박스플롯 안녕하세요. 홍박사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중심화 경향(Central tendency)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중심화 경향은 우리가 수집한 데이터를 대표하는 통계치를 말합니다. 최빈값, 중앙값, 그리고 평균값 등이 중심화 경향 통계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술 통계의 마지막 부분, 바로 분산도(Variation)에 대해서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분산도: 데이터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설명하는 통계치 분산도는 중심화 경향과 달리 수집한 자료의 대표값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분산도는 영어로 Variation으로, 다양성, 변화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조금 추상적인 해석이지요. 여기서 Variation 은 분포도라고 해석하시면 가장 이해하기 쉽습니다. 즉, 분산도는 수집한 데이터가 어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