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념 통계

(6)
[개념 통계 17] 중심극한 정리는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안녕하세요. 홍박사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포스팅을 합니다. 바쁘다는 핑계로 계속 포스팅을 미뤄오다가 마음을 다잡고 짧은 호흡으로라도 포스팅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족한 글이지만 지금까지 이전 포스팅을 읽어주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가 무엇이고, 또 그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중심극한정리는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간략하게 중심극한정리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모집단이 「평균이 μ이고 표준편차가 σ인 임의의 분포」을 이룬다고 할 때, 이 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 표본의 「표본의 크기 n이 충분히 크다」면 표본 평균들이 이루는 분포는 「평균이 μ 이고 표준편차가σ/√n인 정규분포」에 근..
[개념 통계 16] 모집단분포와 표본분포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홍박사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정규분포가 무엇인지 그리고 정규분포를 이용해서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하는 법을 다루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집단 분포와 표본 분포에 대한 개념을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추리 통계에 들어가기 전에 모집단과 표본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둘은 무엇이 다른지 명확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 [통계 노트/통계 개념 정리] - [개념 통계] 모집단과 표본이란 무엇인가? 와 많은 내용이 중복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모집단은 영어로 "인구"라는 의미의 "Population"입니다. 그렇다고 모집단을 일반적 의미의 "인구"라고 이해하시면 안됩니다. 모집단이란 "어떤 통계적 실험의 대상이 되는 모든 대상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하. 말..
[개념 통계 12] 표본공간, 사건 그리고 확률 안녕하세요. 홍박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표본공간, 사건 그리고 확률의 정의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초반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부터 확률 통계가 조금 어렵게 느껴지거나 거리감 있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어떤 분야든 기본 개념을 잡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물론 가장 지루하고 힘든 일입니다. 그냥 띄엄띄엄 이해하고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그런다고 통계 분석을 못하는 것도 아닙니다. 하지만 통계의 재미를 느끼기 위해서는 이 지루함을 참아내셔야 합니다. 자 그럼 시작해 봅시다. 우리는 어떠한 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관찰하거나 또는 측정을 합니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관찰값 또는 측정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표본(sample)이라고 합니다. 이건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것이라 간단하게..
[개념 통계 07] 도수 분포표와 히스토그램 안녕하세요. 홍박사입니다. 이전 포스트에서는 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가 무엇인지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다시 한번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기술 통계는 우리가 수집한 데이터가 어떻게 생겼는지 (대표값은 무엇인지?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사용하는 통계 기법이라고 할 수 있고, 추리 통계는 그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서 우리가 예측하고 싶어하는 것을 확률적으로 판단하는 통계 기법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통계 노트/통계 개념 정리] - [개념 통계] 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란 무엇인가? 이번 포스팅에는 기술 통계 기법 중에서 하나인 도수 분포표(frequency table)와 히스토그램(histogra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수 분포표와 히스토그램은 중고등학교 과정을 무사히 마치셨다면 매우 ..
[개념 통계 06] 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홍박사입니다. 통계는 데이터를 다루는 목적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기술 통계 (Descriptive Statistics) 그리고 다른 하나는 추리 통계 (Inferential statistics)로 말입니다. 기술 통계 (Descriptive statistics): 수집한 데이터를 요약 묘사 설명하는 통계 기법 기술 통계에서 "기술"은 영어로 Descriptive 입니다. 한국말로는 "묘사하는" 또는 "그려서 설명하는"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기술"을 "테크놀로지"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즉, 기술 통계는 우리가 수집한 데이터를 묘사하고 설명하는 통계 기법들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기술 통계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다시 말해 수집한 데이터를 설명하는 통계..
[개념 통계 01] 통계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개념으로 이해하는 통계: 수학 포기자도 이해할 수 있는 통계 이야기 안녕하세요. 홍박사입니다. 2016년 초부터 제가 공부해왔던 통계학을 블로그에 정리해보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처음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통계학을 전공하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고등학교 때 저는 확률 통계 시험에서 전교 꼴등을 한 학생이었습니다. 그때부터 저는 "아! 확률 통계는 머리가 좋은 사람이 하는 것이구나"라고 생각하고 확률 통계를 공부하겠다는 생각을 일찌감치 접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대학원 과정에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통계학을 다시 공부해야했고, 두 세 개의 통계학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다행히도 통계 공부를 하면서 고등학교 때 생각했던 것처럼 "통계가 꼭 머리가 좋은 사람만 할 수 있는 분야는 아니라는 것"을..